함께 성장하는 개발공부 일기

6. 일단 써! 손에 익을 때까지...

브라더원 2020. 2. 19. 23:57

개발 공부 일기 6

[1강 객체의 문법]

배열(array) : 연관되있는 데이터들을 담는 그릇 []
객체(Object) : 연관되있는 데이터들을 담는 그릇  {}

 

-배열의 예시

abc
0(index 값)12

 

-객체의 예시

abc
secondfirst(원하는 값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first" "second" index의 값으로 내가 원하는 값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객체의 구성요소는 2가지로 이루어진다. key와 value가 그것이다.

var grades = {"bro1" : 10, "bro2" : 6, "bro3" : 90};

 

"bro1", "bro2", "bro3"는 key

10, 6, 90은 value
              
변수 grades에 객체(bro1, bro2, bro3)를 담아내야 한다.

 

* 객체 정의하는 또 다른 방법
var grades = {};
grades["bro1"] = 10;
grades["bro2"] = 6;
grades["bro3"] = 90;

 

* 객체의 value를 뽑아내는 방법 2가지
(1) grades["bro1"]
        [ ] 안에 들어오는 것은 문자이다
        따라서 "br"+"o1"도 똑같은 것이다.
(2) grades.bro1


[2강 객체와 반복문의 조우]

배열은 저장된 데이터들이 순서를 가지고 있다.
먼저 들어간 것과 나중에 들어간 것이 내부적으로 기록되고, 유지되기 때문에.
인덱스 값은 0,1,2,3...순서로 부여된다.

다만, 객체 안에 key와 value만 있을뿐 저장된 값에 따라 순서에 따라서 인덱스 값이 순서대로 있지 않다.

for-in문은 배열과 함께 쓰이기도 하는데...To be continue

 

<기똥찬 아웃풋을 낼, 가치있는 상품으로 만들 아이디어>

아직.. 크흠..ㅎㅎ